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경제정책

트럼프, 美 자동차 업계 지원 위한 관세 일부 면제 검토

남지완 기자

입력 2025.04.24 08:41

숏컷

X

중국에 부과해온 관세 가운데 자동차 부품 면제하는 방안도 검토 중

미국의 관세 압박이 조금씩 완화되는 모양새다. 사진=chatgp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자동차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일부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로이터통신이 파이낸셜타임스(FT)를 인용해 23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고려하는 핵심 조치는 전 세계에 일괄 적용 중인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대상에서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자동차 부품을 제외하는 방안이다. 

이는 지난달 12일부터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 제품에 일괄적으로 부과해오던 고율 관세 정책에서 일정 부분 후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부과 중인 20% 관세에서 자동차 부품을 면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중국의 합성마약 펜타닐 원료 유입 차단 미흡에 따른 보복 조치의 일환으로 시행된 기존 정책에 변화를 주는 셈이다.

이번 조치가 현실화되면,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시행했던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중국 제외)에 이어 또 하나의 관세 완화 사례로 평가받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미국 내 자동차 업계가 관세에 따른 차량 가격 상승을 우려해 줄곧 요구해온 관세 완화 요청이 일부 받아들여지는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자동차 업체 일부를 돕기 위한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하던 부품 생산을 미국 내로 옮기고 있으며, 다만 약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모든 자동차 부품이 면제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면제 대상에서 제외된 부품들은 예정대로 다음달 3일부터 25%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외국산 완성차에 대한 25% 관세는 기존대로 유지된다.

이번 조치는 미국 채권 및 주식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해온 고율 관세 정책의 일환이 일부 조정되는 것으로, 시장 안정을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전략 변화로 풀이된다.

남지완 기자 ainik@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