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scp/image/2025/02/05/scp20250205000013.800x.0.jpe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 부과를 한 달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측근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내린 조치로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현지시간) 캐나다, 멕시코 등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는데,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은 지난달 30일 자동차 업계 인사들과의 통화에서 자동차 부문은 관세 부과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 보도했다.
자동차 업계는 관세 부과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언론과의 만남에서 "캐나다에 25%, 멕시코에 별도로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예외 없는 전면적 관세 부과 입장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은 사적으로 다양한 옵션을 검토했다. 특정 분야에만 관세를 부과하거나 시행 전 유예 기간을 부여하거나, 자동차 등 주요 분야에 대한 관세 면제 등이 고려됐다.
스티븐 밀러 백악관 정책 담당 부실장은 멕시코와의 관계 악화가 불법 이민 문제 대응에 미칠 영향을 우려했고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낮은 수준의 관세로 시작해 점진적으로 올리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이번 조치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대담한 보호무역주의 경제 어젠다 시행 의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보편관세를 4일부터 시행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서는 시행 직전 해당 국가 정상과의 통화 후 한 달간 유예됐으며 중국에 대한 10% 관세만 예정대로 시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