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4일 '2025 세계 시장 진출 전략 설명회'를 열고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제시했다.
코트라는 글로벌 제조업 활성화로 인한 '플러스 알파' 시장으로 전력 분야를 주목했다.
세계 각국은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원전, 소형모듈원자로(SMR), 송배전망 투자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은 송배전망 개선 사업에 15억 달러, 폴란드는 2026년까지 스마트미터 설치에 12억 달러, 멕시코는 2030년까지 전력 산업에 234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박성호 코트라 북미지역본부장은 "주요국 대부분이 생산 공장 신설을 위해 한국 기업의 설비와 기술, 노하우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생성형 AI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확충을 위한 스마트 인프라 사업과 함께 제조, 물류, 금융 등 전 산업 분야에 AI가 도입될 전망이다.
박동욱 중동지역본부장은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중심으로 중동의 AI 산업은 2030년 342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며 "스마트 AI 중동 시장에 주목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K-뷰티', 'K-푸드' 등 한국 브랜드의 글로벌 인기도 계속되고 있다.
김성수 CIS 지역본부장은 "몽골 등 중앙아시아에서 한국식 아파트, 편의점, 프랜차이즈 카페 등 한국 붐이 일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세계 곳곳에서 포착한 기회를 중소·중견기업의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