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그룹과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미래 모빌리티 소재 시장 선점을 위해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양사는 21일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철강 및 이차전지(전기차용 배터리)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속에서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너지를 강화하기로 했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차용 강재 및 이차전지 소재 공급자로 입지를 다진다.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완성차 톱3 제조사로서 고급 맞춤형 소재를 안정적으로 조달해 미래차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철강 분야는 탄소중립 전환과 통상 리스크 대응을 위한 글로벌 합작투자가 핵심 협력 방향으로 제시됐다.
포스코그룹은 현대차그룹의 미국 철강 투자에 동참함으로써, 보호무역 장벽으로 접근이 제한됐던 북미 철강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이번 합작을 통해 미국 루이지애나 지역에 제철소를 설립하고, 포스코는 기존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Posco-Mexico)과 더불어 미국·멕시코 전역에 철강 가공 및 공급 체계를 갖춰 유연한 생산·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 양사는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리튬부터 양·음극재에 이르는 포스코그룹의 소재 경쟁력과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기술력을 결합해, 전기차 시장 확대 국면 이후에도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차세대 소재 개발과 미래 모빌리티 특화 기술 공동 개발에도 협력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다.
이번 제휴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의 ‘완결형 현지화 전략’과 이차전지소재 시장의 변동성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체결식에는 한석원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부사장)과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사장) 등 양사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주태 사장은 “철강과 이차전지소재를 중심으로 양사의 시너지가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