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중국과의 통상 협상이 향후 3~4주 내 타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우리는 중국과 대화 중이며, 그들이 여러 차례 연락해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과의 협상은 긍정적이며, 결국 협상을 타결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시진핑 국가주석과 직접 소통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한 언급을 피했지만, 양국 간 교류는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매각 협상에 대해서는 “중국에 달렸다”며 “관세 문제 정리 전까지 협상은 연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추가 관세에 대해서는 “더 이상 올리지 않기를 바란다”며, 과도한 관세가 소비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한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과의 통상 협상도 잘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현재 일본, 유럽연합(EU), 한국, 인도 등 주요 15개국과의 협상이 우선 진행 중”이라고 설명헀다. 베선트 장관은 특히 일본과의 회담이 “환상적이었다”고 평가하며, 한국과는 다음 주 협상이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국가가 미국과 공정한 협정을 맺고 싶어 한다”며, 미국이 무역 협상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우리는 모두가 원하는 것을 갖고 있는 나라”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와 관련해 “통상 협상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답했다. 유럽연합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100% 협정을 맺게 될 것”이라며 낙관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날 함께한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미국이 여전히 유럽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또한 멜로니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탈리아 공식 방문 초청을 수락해 조만간 로마를 찾을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