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석유/가스(수송,정제,판매)

트럼프의 석유 증산 꿈, 셰일 업계의 벽에 막히나

임영재 기자

입력 2025.02.04 10:25

숏컷

X

OPEC과 사우디아라비아, 트럼프의 증산 압박에 부정적

사진=Chat GP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석유 증산을 통한 유가 인하를 추진하고 있으나, 취임 초기부터 석유 업계의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석유 증산을 위해 규제 완화를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셰일오일 업계는 증산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이는 미국 셰일 산업이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산업 구조가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2010년대 '셰일 혁명' 당시 급성장했던 미국 셰일 업계는 이후 큰 변화를 겪었다. 과거 '와일드캐터'(Wildcatter)로 불리던 모험적인 소형 시추회사들이 사라지고, 엑손모빌과 같은 대형 에너지 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하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 자문단도 미국 내 셰일 업계의 생산량 증대가 어려울 것이라는 현실을 인정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를 주도하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설득해 OPEC의 증산을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지만 이 역시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드릴, 베이비 드릴!'이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셰일오일 시추 관련 규제 철폐와 석유 생산 증대를 공약했다.

그의 계산은 유가 하락이 인플레이션, 고금리 등 미국의 당면 문제 해결과 러시아 압박을 통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에너지 자문업체 우드매켄지의 에드 크룩스 미주 부회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초기 규제 변화로 석유 생산의 경제성에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그는 미국의 석유 생산량 증대가 완전히 비현실적인 것은 아니지만, 과거 셰일 붐 시기에 비해 생산 증가량이 미미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 에너지부는 올해 말 미국 국내 석유 생산량이 하루 1370만 배럴로 전년 대비 2% 증가한 뒤 2026년에는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석유 증산 정책은 인플레이션 억제, 고금리 문제 해결, 러시아 압박 등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업계의 현실과 글로벌 시장 상황으로 인해 난관에 봉착한 것으로 보인다.


임영재 기자 withhy@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