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항공우주

KAI, 미국 디펜스테크 기업 ‘쉴드 AI’와 파트너십 체결

남지완 기자

입력 2025.03.19 10:20

숏컷

X

최낙선 항전연구센터장 “AI 파일럿 기술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증하고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

'2025 DSK(드론쇼코리아)'에 전시된 KAI의 차세대공중전투체계(NACS). 사진=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미국 디펜스테크 기업 ‘쉴드 AI’와 파트너십을 맺고 AI 자율비행 검증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KAI는 지난 5일 쉴드 AI와  무인항공기와 드론 등에 적용되는 AI 기반 자율비행 소프트웨어인 ‘하이브마인드 엔터프라이즈(HME)’사용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은 쉴드 AI의 국내 공급사인 퀀텀 에어로(Quantum Aero)와 3자 간 진행됐다.

이번에 계약을 체결한 쉴드 AI의 HME는 무인항공기 드론에 임무 수행을 위한 자율성을 구축, 평가, 검증하는 소프트웨어로 2018년부터 F-16, GA-ASI MQ-20 Avenger(미국의 스텔스 무인 공격기) 등에 적용돼 AI 기반 자율비행 능력을 선보인바 있다.

KAI는 HME를 활용해 독자적으로 개발 중인 AI 파일럿의 자유비행 기술을 검증하고 다목적무인기(AAP) 축소기에 통합해 실증에 나설 계획이며, 이를 통해 AI 파일럿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기술을 고도화 한다는 전략이다.

KAI 엔지니어들은 내달 미국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둔 쉴드 AI에 방문하며 교육을 받고 소프트웨어 활용 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KAI는 다양한 항공기 개발 경험과 비행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어 AI 파일럿을 개발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 중심의 미래 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KAI는 차세대 공중전투체계의 핵심인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구현하기 위해 2023년 하반기부터 AI 파일럿의 항공기 제어기술 연구를 시작으로 지난해 2월 AI, 빅데이터, 자율/무인 등에 1025억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며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또한 AI 파일럿 기술 역량 고도화와 국내 생태계 구축을 위해 AI 빅데이터 기업인 코난, 의사결정 AI 전문기업 펀진, AI기반 국방 합성데이터 솔루션기업 젠젠에이아이(GenGenAI) 등 AI 강소기업에 지분투자를 통해 전략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KAI는 올해 AAP 축소기에 AI 파일럿을 탑재해 기본 항법 및 장애물 회피 비행 및 표적인식 등을 실증할 예정이며, 올해 출고를 준비하고 있는 AAP에 AI 파일럿을 탑재할 계획이다.

최낙선 KAI AI 및 항전연구센터장은 “KAI가 자체 개발하고 있는 AI 파일럿 기술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빠르게 검증하고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며 “대한민국 대표 AI 파일럿 ‘카일럿’이 진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관심있게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남지완 기자 ainik@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