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중국증시

中 양회, '5% 성장' 목표 유지... 내수 확대·첨단 기술 투자 강화

배도혁 기자

입력 2025.03.11 08:54

숏컷

X

-AI·로봇 등 첨단기술에 200조원 국부펀드 조성
-美 관세 부담은 여전


중국이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설정하며 내수 확대와 첨단 기술 투자를 주요 성장 전략으로 내세웠다.

11일 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지난 5일 개막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업무보고에서 “우리 경제는 반드시 바람을 타고 안정적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성장 목표 달성 의지를 강조했다.

사진 = 챗GPT

다만 내수 부진, 높은 청년 실업률, 부동산 시장 침체 등 내부 경제 문제에 미국과의 무역 갈등까지 겹치면서 성장 전망은 불투명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 정부는 소비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며 내수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리 총리의 업무보고에서 ‘소비’라는 단어는 작년 21회에서 올해 31회로 증가하며 강조됐다.

특히 중국은 이구환신(以舊換新·노후 제품 교체 지원) 정책 예산을 작년 1500억위안(약 30조원)에서 3000억위안(약 60조원)으로 확대하고, 가전·자동차·건설자재 등으로 지원 대상을 넓혔다.

또한, 소비 촉진을 위한 ‘소비 진흥 특별행동방안’ 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연구개발(R&D) 예산을 전년 대비 10% 증액한 3981억위안(약 80조원)으로 편성했다.

또 중국 정부는 재정 지출을 대폭 확대하며 경기 부양에 나선다. 올해 재정 적자율을 국내총생산(GDP)의 4%로 확대하며, 적자 규모를 5조6600억위안(약 1130조원)으로 설정했다. 지방 미분양 토지 매입 등을 위한 지방정부 특수목적채권 발행 규모는 작년 3조9000억위안(약 781조원)에서 올해 4조4000억위안(약 881조원)으로 늘렸다.

첨단 기술 투자도 강화된다. 중국 정부는 AI·양자컴퓨팅·6G·휴머노이드 로봇 등에 1조위안(약 200조원) 규모의 국부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반도체, 스마트 제조, 신에너지 산업 등 첨단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다만, 대외적인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10% 관세 인상’을 시행하자, 중국도 미국산 농·축산물에 ‘2차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이 재점화됐다.

블룸버그통신은 "미중 갈등이 지속될 경우 중국의 대미 수출이 25~30%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 경제 성장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5%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의 1~2월 수출 증가율은 2.3%로, 작년 12월(10.7%) 대비 급감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이 본격적인 영향을 미치면 수출 둔화는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압박에 직면한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0.7% 하락하며 1년 만에 하락세로 전환됐다.

배도혁 기자 dohyeok8@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