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기업이 염수 등에서 리튬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핵심장비인 ‘리튬 추출용 흡착제’ 수출을 중단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소식통과 입수한 관련 서류를 인용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 제조 시 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보도에 따르면 흡착제를 생산하는 중국 장쑤주우하이테크는 2월 1일부터 자사 제품 수출을 중단한다고 고객사들에 지난달 통보했다.
동종업계 중국 기업 썬레진은 리튬 관련 기술 수출 문제를 놓고 정부와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중국은 지난달 2일 배터리 부품 제조 및 희소금속 처리 관련 기술에 대한 수출 통제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가 수출 금지 또는 제한 대상 기술 목록 조정안을 발표하면서 배터리 양극재 제조 기술, 희소금속인 리튬·갈륨 추출을 위한 일부 기술 및 공정을 추가한 것이다.
다만 상무부는 기술 수출 통제가 언제부터 시행되는지 정확한 시일을 밝히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중국의 관련 업계 변호사는 “중국 상무부 관리들이 여러 회사를 방문해 수출 통제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며 “한 회사에는 협상 중인 10억달러(약 1조4400억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진행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통제 조치가 실제로 시행되면 얼마나 엄격해질지는 불확실하지만, 추진 자체는 중국이 리튬 같은 광물 분야에서 지배력을 이용해 무역 전쟁을 벌이는 미국에 압력을 가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이 외에도 중국은 자국 희토류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 초안인 ‘희토류 채굴 및 희토류 제련·분리에 대한 총체적 관리방법’, ‘희토류 제품 정보 추적 관리방법’에 대한 여론 수렴에도 들어갔다. 의견 접수 마감은 다음달 21일이다.
로이터통신은 세계에서 갈수록 중요성이 커지는 희토류를 한층 엄격한 국가 통제 아래 두려는 중국 정부의 일련의 시도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