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 반디플: 엔비디아, ‘SOCAMM’ 개발 논의 속 반도체주 강세
엔비디아가 LPDDR5X 기반의 ‘SOCAMM(소캠)’ 개발을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과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에 소캠용 기판 공급을 위해 협력하는 심텍(20%), 심텍홀딩스(9%), 티엘비(18%) 상승했다. 국내 유일 LPDDR5 5G IoT 솔루션을 제공하는 쓰리에이로직스(상한가), LPDDR2를 양산해 제품 테스트를 완료한 바 있는 에이팩트(11%) 상승했다.
“1분기부터 유의미한 계약 체결 가능성이 높다”는 증권가 분석 속 오픈엣지테크놀로지(7%),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AI 비전·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 피아이이(20%) 상승했다.
지난해 HBM 특화 신규 풉 클리너 장비를 공급하고 유리기판 기반의 PLP향 제품군 확대가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에 아이에스티이(8%) 상승했다.
삼성전기, 4분기 유리기판 시제품 납품 계획 발표
삼성전기에 TTV 컨트롤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 유리기판 시제품을 올해 4분기 납품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켐트로닉스(5%), 유리기판 절단 장비 싱귤레이션 출하 논의 중인 필옵틱스(5%) 상승했다.
국내 메모리 반도체 기업에 2세대 습도제어 장비 공급을 추진하며 올해 역대 최대 실적 달성을 목표로 하는 저스템(17%) 상승했다.
xAI가 델과 약 7조원 규모의 서버 구매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는 소식에 델과 공동 영업 파트너 관계를 체결한 이삭엔지니어링(13%) 상승했다.
로봇 / AI: 한화, 중국 유니트리와 협업 속 로봇 관련주 상승
한화그룹이 투자하고, 중국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판매 중인 버넥트(상한가) 상승했다.
메타도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한 로봇공학 부서를 신설하며 로봇 시장 진출을 선언한 가운데, 메타 등과 협력 중인 원익로보틱스를 자회사로 둔 원익홀딩스(21%), 케이엔알시스템(8%) 상승했다.
3년 만에 흑자전환을 달성하고 신공장 준공을 앞둔 유일로보틱스(10%) 상승했다.
국내 유일 엔비디아 AI 플랫폼 ‘코스모스’ 기반 자율주행 로봇 ‘에이든’의 해외 초도물량 공급이 완료됐다는 소식에 마음AI(9%) 상승했다.
페르소나AI가 인터넷과 GPU 없이 동작하는 온디바이스AI 기술로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에 페르소나AI에 투자한 린드먼아시아(20%) 상승했다.
BIO / 의료AI: 신규 상장 바이오주 및 유전자 치료제 기대감 속 강세
국내 조영제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동국생명과학(39%) 상승했다.항체약물접합체(ADC) 기술과 표적단백질분해제(TPD)를 결합한 항체접합분해제(DAC)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오름테라퓨틱(상한가) 상승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와 유전자 검사 MOU를 체결한 쓰리빌리언(26%) 상승했다. 진행성핵상마비 치료제 ‘GV1001’ 2a 임상시험 데이터가 고무적이라는 소식에 젬백스(19%) 상승했다.
미국 일라이릴리와 총 9100억원 규모의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19일 기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인 올릭스(14%) 상승했다. 미국 FDA 심사관 출신 정상목 박사를 글로벌 임상개발 및 허가 담당 사장으로 영입한 네이처셀(10%) 상승했다.
경구용 비만 치료제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 중인 DXVX(9%) 상승했다. 한방 의료기기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동방메디컬(9%) 상승했다.
아토피 치료제 ‘누겔’의 연내 기술 수출 기대감에 샤페론(8%) 상승했다. 유럽영상의학회에 참가해 역대 최다 연구 초록을 발표하는 루닛(7%) 상승했다.
이차전지: LFP 양극재 기대감 속 강세
LFP 양극재 제조공장 준공을 오는 8월 완료할 계획인 탑머티리얼(상한가) 상승했다. 현대차가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다음달 가동한다는 소식에 황화 리튬을 생산하는 레이크머티리얼즈(13%), 이수스페셜티케미컬(9%) 상승했다.
한화: 한화 그룹주 강세
증권가에서 목표주가를 대거 상향 조정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8%), 한화정밀기계가 SK하이닉스와 TC본더 인증을 마무리하고 이르면 이달 중 정식 수주할 것이라는 소식에 한화비전(7%) 상승했다.
개별주: 데이터센터·금·탄소세 등 이슈 속 상승
AI 투자 확대와 함께 IDC 설치가 늘면서 IDC용 비상발전기 수요 증가 기대감에 지엔씨에너지(25%) 상승했다.
로봇 사업 기대감으로 엔비디아의 차량 통제 보드에 탑재되는 카메라 렌즈를 공급한 세코닉스(22%) 상승했다.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금·은·백금 등 모바일 실물자산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아이티센(19%) 상승했다.
미국이 중국 드론 업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미국향 250g 미만 나노드론 수출 기대감 속 에이럭스(16%) 상승했다.
메타, 세계 최장 해저케이블 구축 프로젝트 공개 속 LS마린솔루션(13%) 상승했다.
미국 메타가 이달 내 퓨리오사AI를 인수할 것이란 소식에 퓨리오사AI와 AI 반도체 통합 솔루션을 개발한 포바이포(12%), 나우IB(4%) 상승했다.
트럼프 정부도 탄소세를 관세 카드처럼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 속 탄소 포집 시설을 운영하는 에코바이오(10%),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영위하는 에코아이(9%) 상승했다.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이 의결되면서 HVDC 송전선 금구류 개발을 완료한 세명전기(7%) 상승했다.
스코프 코멘트:
엔비디아가 SOCAMM 개발 협의를 진행하면서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였으며, AI 반도체, 바이오, 로봇 섹터에서도 개별 이슈에 따라 상승이 나타났다. 향후 반도체 및 AI 관련 글로벌 대형 투자 계획이 구체화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