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 데이터센터
오픈AI의 카카오 협업 및 AI 전용 단말기 개발 소식이 부각되며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다.
오픈AI 샘 울트먼 CEO가 카카오 기자간담회에 참석하며 협업을 발표한다는 소식에 카카오(9%), 카카오가 지분을 보유한 바이브컴퍼니(상한가)가 상승했다.
울트먼 CEO가 스마트폰을 대체할 AI 단말기를 개발한다는 소식에 MS 자회사 뉘앙스와 파트너십을 보유한 브리지텍(15%), AI 음성지능 기술에 챗GPT를 융합한 ‘토킹GPT’를 개발한 셀바스AI(7%)가 상승했다.
MS 애저에서 챗GPT 연계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힌 와이즈넛(18%), 캔디카메라 서비스와 AI 기술을 지원하는 크라우드웍스(6%)가 상승했다.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확대 기대감 속에서 관련주가 상승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에 스마트 액추에이터를 생산하는 하이젠알앤엠(6%)이 상승했다.
딥시크
딥시크 AI 서버 관련 이슈로 중국 기업과 협력한 종목들이 상승했다.
딥시크 돌풍에 중국 AI서버 제조업체 낭조정보와 약 167억원의 수주계약을 체결한 GRT(이틀 연속 상한가), 피델릭스(1%)가 상승했다.
미국 - 관세전쟁
미중 무역분쟁 속 희토류·흑연 관련주가 상승했다.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중국의 희토류 보복 가능성이 제기되며 유니온(27%), 유니온머티리얼(13%), 티플랙스(7%)가 상승했다.
미국 ITC가 중국이 흑연을 인위적으로 낮은 가격에 수출해 미국 산업을 저해했다고 판정하며 흑연을 가공해 그래핀을 제조하는 상보(19%)가 상승했다.
대왕고래
울릉분지 가스·석유 매장량 증가 기대감으로 관련주가 상승했다.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 울릉분지에 최대 51억7000만 배럴의 가스·석유가 추가 매장돼 있다는 용역 보고서가 제출되며 한국가스공사(6%), 화성밸브(8%), 원유 관련주 한국석유(상한가), 흥구석유(21%)가 상승했다.
개별주
부동산 개발, FO-PLP, 유튜브 쇼핑, 치매 진단 등 다양한 개별 이슈로 관련 종목이 움직였다.
부동산개발업체로 매각됐다는 소식에 에스에이티이엔지(상한가)가 상승했다.
FO-PLP 및 유리기판용 장비 생산을 위한 기술 개발과 테스트를 완료했다는 소식에 나인테크(17%)가 상승했다.
유튜브 쇼핑이 자리 잡으며 2028년 국내 거래액이 6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카페24(13%)가 상승했다.
AI와 HBM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75% 증가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한 다원넥스뷰(10%)가 상승했다.
치매 진단 증가로 핵의학 영상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PET·CT 촬영 시장 점유율 90%를 차지하는 듀켐바이오(9%)가 상승했다.
포토레지스트 제조에 필요한 폴리머·PAG를 양산하는 삼양엔씨켐(하락),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50% 하회하며 제룡전기(-12%)가 하락했다.
스코프 코멘트
오픈AI와 카카오 협업 이슈가 시장을 주도했고, AI 및 데이터센터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다. 미중 무역분쟁 속 희토류·흑연 관련주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