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 AI>
세계 로봇 수술 시장 규모 2031년 30조 원 전망
세계 로봇 수술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11%에 이를 것이란 전망에 국내 로봇 기업 중 최초로 FDA 인증을 획득한 고영(19%)과 큐렉소(소폭 상승)가 상승했다.
세계 최초 로봇 자궁 거상기 특허 출원
자회사 이지메디봇의 로봇 자궁 거상기 ‘유봇’이 미국 특허를 출원하며 더블유에스아이(10%) 상승했다.
자율주행 로봇과 진공 로봇 확대 기대감
LG전자에 실외 자율주행 로봇을 납품하는 로보티즈(13%)와 반도체 제조용 진공 로봇을 공급하는 티로보틱스(10%)가 강세를 보였다.
<트럼프 트레이드>
중국 통신장비 배제 강화
미국의 통신장비 정책 강화 기대감에 오이솔루션(10%)과 머큐리(6%)가 상승했다.
대북 관련주 강세
트럼프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발언을 하며 모나용평(8%)과 일신석재(3%)가 상승했다.
우주산업 투자 기대감
트럼프의 우주 개발 의지 발언으로 AP위성(7%)과 쎄트렉아이(7%)가 강세를 보였다.
<조선 / 해운>
LNG와 조선업 모멘텀
LNG 저장 시설과 탱크 제조 기대감에 대창솔루션(18%)과 태광(10%)이 상승했다.
필리 조선소 인수 완료 기대감
한화오션이 필리 조선소 인수로 항공모함, 잠수함 생산 가능성이 부각되며 상승(5%)했다.
<삼성 / 반디플>
미국과의 반도체 협력 확대 기대감
삼성전자 관련 반도체 장비 공급 계약 소식으로 제이엔비(13%)와 오킨스전자(5%)가 상승했다.
<이차전지 / 미래차>
트럼프 전기차 정책 폐지 선언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보조금 축소 정책을 선언하며 LG에너지솔루션(-4%)과 삼성SDI(-4%) 등이 하락했다.
미국 전기차 업체 FEM 납품 소식
와이팜이 FEM 부품을 납품한다는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다.
티웨이홀딩스 경영권 분쟁 공식화
대명소노그룹의 경영권 분쟁 우려로 티웨이홀딩스가 상한가, 예림당(16%)이 상승했다.
<개별주>
미국 드론 수출 증가
미국의 중국 드론 제한으로 제이씨현시스템(6%)이 상승했다.
다보스 포럼 참석으로 주목받은 의료AI
다보스 포럼에 연속 참가한 루닛(6%)이 상승했다.
스코프 코멘트
오늘 시장은 트럼프 취임에 따른 정책 변화와 로봇·조선주의 성장 기대감이 반영됐다. 특히 로봇 관련 글로벌 수요 증가 전망과 조선·LNG 투자 모멘텀이 강세를 주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