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5N1) 중증환자가 처음 발생했다.
18일(현지시간) AP통신과 CNN 방송 등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날 루이지애나주의 한 환자가 조류 인플루엔자에 걸려 입원했으며 중한 증세를 보인다고 밝혔다.
CDC는 해당 환자는 자신의 사유지에서 기르는 병들거나 죽은 가금류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이 환자가 접촉한 가금류는 상업용은 아니며, 젖소나 이와 관련된 식품에 노출된 적도 없다는 설명이다.
이번에 검출된 D1.1 바이러스는 이전에 미국 젖소, 일부 가금류 및 이와 접촉한 사람에게서 검출된 B3.13 바이러스와는 다른 유형으로 파악됐다.
CDC는 현재 추가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미국에서는 H5N1 바이러스가 수백곳의 낙농장으로 확산됐으며, 사람에게 전염돼 지난 4월 이후 현재까지 61명의 발병 사례가 보고됐다. 이번 루이지애나 환자가 나오기 이전까지는 모두 경미한 증상을 보였다.
다만 조류 인플루엔자의 사람 간 전염 사례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이날 캘리포니아주는 H5N1 확산에 대응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아직 중증환자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올해 미국에서 보고된 H5N1 감염 61건중 34건이 발생해 지역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34건 중 33건이 젖소를 기르는 낙농장에서 발생했고, 1건은 감염원이 파악되지 않았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실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주 정부의 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라며 "관련 절차를 간소화해 대응을 신속하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DC는 " H5N1 타잎의 조류 인플루엔자가 공중 보건에 미치는 위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달라지지 않았다"며 "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가능한 한 노출을 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