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가 미국에 1000억달러(약 145조원)를 추가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TSMC 웨이저자 회장과 백악관에서 면담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TSMC가 최첨단 반도체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최소 1000억달러를 투자하며, 신규 투자는 애리조나주에 5개의 제조 시설을 짓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로 인해 수천 개의 고임금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며, 오늘 발표로 TSMC의 대미국 투자 총액이 1650억달러(약 241조원)에 이르게 됐다"며 "이는 미국과 TSMC에 엄청난 일"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AI 반도체가 미국에서 생산될 것이며, 그 가운데 상당 부분을 TSMC가 담당할 것"이라며 경제 안보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에도 중요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TSMC는 트럼프 대통령 1기 시절인 2020년부터 미국 투자에 나섰다. 처음에는 120억달러(약 17조5440억원) 규모로 시작했으나, 이후 650억달러(약 95조원)까지 투자 금액을 늘렸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라 66억달러(약 9조2000억원)의 보조금을 제공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보조금 정책을 강하게 비판해왔다. 그는 "보조금 지급 대신 수입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면 업체들이 미국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이에 따라 TSMC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도 반도체법 보조금이 취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TSMC가 미국 투자에 나선 것은 반도체 보조금이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TSMC는 관세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에 투자한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사례"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발표를 두고 혼다, 애플 등의 미국 투자를 거론하며 "다른 회사들의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는 강력한 신호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만약 대만에서 반도체를 생산해 미국으로 들여오면 25~50%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며, 이는 앞으로도 계속 올라갈 것"이라며 "TSMC는 그런 면에서 게임에서 훨씬 앞서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중국의 대만 고립화나 점령 가능성에 대한 영향과 관련해 "이번 TSMC 투자로 매우 중요한 사업의 일부가 미국에 있도록 할 수 있다"며 TSMC의 미국 공장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이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