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법(Chips Act) 보조금 지급 조건을 재검토하고 일부 계약을 재협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법 보조금과 관련된 기존 요구사항을 변경한 뒤 일부 기업과의 계약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다만, 변경 범위와 기존 합의에 대한 구체적인 영향은 아직 불분명한 상태다.

이번 보조금 재검토는 기존 조 바이든 행정부가 도입한 노조 가입 노동자 고용, 저렴한 보육 서비스 제공 등 기업에 부과된 특정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은 후 중국 등 다른 국가 진출 계획을 발표한 기업들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보조금 수혜 기업 중 중국에 투자한 사례로 인텔, TSMC와 함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꼽았다.
삼성전자는 현재 미 텍사스주 테일러에 370억달러(약 53조4000억원)를 투입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며, 미 상무부로부터 47억4500만달러(약 6조8000억원)의 보조금을 받기로 한 상태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 중이며, 미 상무부와 4억5800만달러(약 6600억원) 규모의 보조금 계약을 체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조금 정책 변경 움직임에 대해 반도체산업협회(SIA)는 "트럼프 행정부와 협력해 요구 사항을 줄이고, 미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대만 실리콘 웨이퍼 제조업체 글로벌웨이퍼스는 로이터에 보낸 성명에서 "반도체법 보조금 프로그램 당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및 정책과 일치하지 않는 특정 조건들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글로벌웨이퍼스는 앞서 미 텍사스주와 미주리주에 40억달러(약 5조7728억원) 규모의 웨이퍼 공장 투자를 발표했으며, 미 정부는 이에 대해 최대 4억600만달러(약 6600억원) 규모의 보조금 지급을 결정한 바 있다.
한편, 백악관에서 논의 중인 내용에 능통한 관계자는 "백악관이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조건에 대해 특히 우려하고 있다"고 로이터에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