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한국증시

2025년 2월 10일, 시장 요약: 로봇 및 반도체 관련주 강세

FS 콘텐츠팀 기자

입력 2025.02.11 06:30

숏컷

X
2025년 2월 10일, 한국 증시는 로봇 산업에 대한 글로벌 관심 증가와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확대 기대감 속에서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특히 SK 최태원의 휴머노이드 사업 육성 발언과 오픈AI의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이 시장의 주요 테마로 작용했다.

로봇: SK그룹 로봇 사업 확장 기대감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확대 지시에 관련주 강세.
SK텔레콤과 AI 로봇 협력 경험이 있는 휴림로봇(27%), 유진로봇(15%), 티로보틱스(9%) 상승했다. SK배터리아메리카가 2대주주로 있는 유일로보틱스(19%), SK가 최대주주인 에스엠코어(18%), SKT가 2대주주인 씨메스(6%) 상승했다.

로봇 부품 및 감속기 관련 기업 상승.
정전용량식 엔코더 기술 특허를 출원한 알에스오토메이션(17%), 테슬라 로봇 감속기 공급 기대감 속 디아이씨(16%) 상승했다. 보스턴다이내믹스에 로봇 부품을 공급하는 한국무브넥스(11%), 케이엔알시스템(8%) 상승했다. 스마트 액추에이터 생산 기술을 보유한 삼현(7%) 상승했다.

AI: 오픈AI 기업가치 급등 및 데이터센터 투자 기대감
오픈AI 기업가치 437조원 평가 소식에 관련 AI 기업 상승.
B2B AI 솔루션 기업 와이즈넛(상한가), 공공기관 AI 음성기록 솔루션 공급 본격화 소식에 셀바스AI(13%), AI 검색 엔진에 딥시크 모델을 적용한 이스트소프트(4%) 상승했다.
오픈AI, 미국 16개 주에 데이터센터 건설 검토 소식에 관련주 강세.
데이터센터용 SSD 부품을 생산하는 삼화전기(13%), 오는 6월 실리콘커패시터 양산에 돌입하는 DB하이텍(9%) 상승했다.

삼성 / 반디플: 반도체 유리기판 사업 확대 및 HBM 공급 증가 기대
삼성전자, ASIC용 HBM 공급 확대 전망 속 관련주 상승.
ASIC HBM 공급 확대 기대감에 삼성전자(3%), 와이씨(13%), 퀄리타스반도체(9%), 가온칩스(4%) 상승했다.

반도체 유리기판 사업 확대 기대감 속 관련주 강세.
AI 반도체용 글래스기판 검사 솔루션을 시연한 피아이이(상한가), 한빛레이저(17%), 제이앤티씨(8%), 와이씨켐(8%) 상승했다. 씨앤지하이테크가 차세대 유리기판 신기술 적용 성공 소식을 발표하며(12%) 상승했다.

삼성·구글·퀄컴 협력 XR 기기 개발 기대감 속 관련주 상승.
삼성디스플레이와 협력해 AR 디스플레이용 ASIC를 개발한 사피엔반도체(19%) 상승했다.

이차전지: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라인 가동 소식에 상승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가동 소식 속 관련주 강세.
현대차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를 단독 수주한 유일에너테크(상한가), 전고체 배터리 관련 신소재 기업 이수스페셜티케미컬(24%), 레이크머티리얼즈(22%), 한농화성(9%) 상승했다.

이차전지 신사업 성과 및 실적 증가 기대감 속 관련주 상승.
지난해 매출이 340% 증가한 피노(19%), 전고체 조립설비 파일럿 라인 3종을 개발한 엠오티(14%), 전구체 사업 성장으로 흑자전환한 에코앤드림(9%) 상승했다.

BIO: 글로벌 신약 기술이전 및 혁신 치료제 부각
MASH 후보물질을 9117억원에 일라이릴리에 수출한 올릭스(상한가) 상승.
EGFR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임상 시험 데이터를 발표할 보로노이(13%) 상승했다. FDA 혁신의료기기 지정을 신청한 넥스트바이오메디컬(13%) 상승했다.

비마약성 진통제 승인 소식 속 관련주 강세.
FDA가 비마약성 진통제 ‘저나백스’를 승인하면서 비보존제약(13%) 상승했다.

개별주: 호실적 및 FDA 승인 기대감에 상승
4분기 흑자전환한 SAMG엔터(상한가), FDA 승인 목표 신제품 발표한 아스테라시스(13%) 상승했다.

 
스코프 코멘트:
오늘 시장은 SK그룹의 로봇 사업 확대 기대감과 오픈AI의 데이터센터 투자 소식이 주요 이슈였다. 삼성전자의 HBM 공급 확대 및 유리기판 사업 확장도 반도체 업종의 상승을 견인했으며, 현대차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가동 소식이 이차전지 섹터의 강세를 이끌었다.


FS 콘텐츠팀 기자 team_contents@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