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 에너지>
미국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으로 SMR이 부각되며 비에이치아이(12%), 두산에너빌리티(3%)가 상승했다.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전체 전력 생산량의 43%를 차지하는 가스 화력 발전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LNG 복합화력 발전 설비를 제조하는 SNT에너지(13%)가 상승했다.
미국 내셔널 그리드에 115kV 초고압 변압기 5대를 수출한다는 소식에 일진전기(10%), 제룡전기(3%), 산일전기(3%)가 상승했다.
미국의 대규모 AI 투자 움직임에 따른 전력 인프라 증가 기대감과 증권사 목표가 상향 조정에 HD현대일렉트릭(8%), 북미 매출 확대로 실적 성장세를 보이는 LS ELECTRIC(5%)이 상승했다.
<조선 / 해운>
미 해군의 MRO 수요 증가와 올해 5~6척 수주 기대감에 한화오션(10%), HJ중공업(6%)이 상승했다.
<로봇>
보스턴다이내믹스 로봇 부품 정밀 금형을 담당하며 로봇 사업에 진출한다는 소식에 한국무브넥스(상한가), 보스턴다이내믹스에 유압 로터리 액추에이터를 납품한 케이엔알시스템(6%)이 상승했다.
LG전자가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의 경영권을 확보했다는 소식에 LG전자 모터사업부에서 출범한 액추에이터 전문 기업 하이젠알앤엠(19%), 베어로보틱스 서빙로봇 ‘서비’를 위탁 생산하는 인탑스(11%), LG전자가 최대주주로 있는 로보스타(4%)가 상승했다.
<우주 / 항공>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생산을 강조하면서 미국 자회사를 통해 보잉·록히드마틴 등에 항공 엔진 부품을 납품하는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26%)가 상승했다.
우주항공청과 기상청이 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에 착수한다는 소식에 AP위성(5%)이 상승했다.
<방산 / 국방>
트럼프 대통령이 나토(NATO) 방위비 증액을 요구하면서 K-방산의 유럽 수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7%)가 상승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96억 원 규모의 K9A1 외주창정비 계약을 체결한 엠앤씨솔루션(13%),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65% 증가한 SNT다이내믹스(9%), SNT홀딩스(7%)가 상승했다.
LIG넥스원의 천궁-II 사우디 및 이라크 수출 수주 소식에 천궁에 탐색기 안테나를 공급하는 RF시스템즈(9%)가 상승했다.
<정치>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이재명 대표가 1위를 유지하며 오리엔트정공(23%), 디젠스(15%), 동신건설(10%)이 상승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비명계 행사에서 정치 다양성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국영지앤엠(9%)이 상승했다.
삼익악기 대표가 김문수 장관과 종친 관계로 알려지면서 삼익악기(21%), 밸로프(12%)가 상승했으며, 김문수 테마주로 움직였던 대영포장(-22%)은 하락했다.
<신규상장 / IPO>
리프팅 미용의료기기 제조업체 아스테라시스가 신규 상장하며 아스테라시스(44%)가 상승했다.
자연어처리 AI 기업 와이즈넛(-36%)과 성인 교육 콘텐츠 기업 데이원컴퍼니(-40%)는 상장 첫날 급락했다.
<개별주>
제이오 인수 철회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증권가 리포트로 목표주가가 2배로 상향 조정되며 이수페타시스(28%)가 상승했다.
브이티가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최대주주가 된 선박 부품 기업 KS인더스트리(24%)가 상승했다.
전립선암 치료제 FC705의 연구결과 보고서 작성이 1분기 내 완료될 예정이라는 소식에 퓨쳐켐(16%)이 상승했다.
고려아연 회장이 임시 주총에서 영풍 측과의 표 대결에서 승리하면서 고려아연(11%)이 상승했다.
세계 최초 침혈당측정기 ‘디썰라이프’의 상용화가 임박했다는 소식에 동운아나텍(10%)이 상승했다.
북미에서 중대형 ESS 및 쿨링플레이트 수주액이 각각 2.4조 원, 3조 원을 돌파하며 신성에스티(9%)가 상승했다.
트럼프 정부의 2기 출범, 양자암호통신 도입 본격화, 미국·한국 주파수 경매 진행 등이 비중 확대의 적기라는 분석에 쏠리드(8%), 오이솔루션(10%)이 상승했다.
미국 AI 데이터센터 건설에 최대 720조 원이 투자된다는 기대감으로 지엔씨에너지(7%)가 상승했다.
현대차와 6.7조 원 규모의 해운 계약을 체결하며 자동차 물류 및 해운 사업에서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는 전망에 현대글로비스(6%)가 상승했다.
스코프 코멘트
오늘 시장은 에너지·로봇·방산·우주 테마가 강세를 보이며 개별 종목 장세가 이어졌다. 트럼프 정부의 인프라 투자와 AI, 전력망 확충 관련 종목들의 흐름을 주목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