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가 2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서면서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된다면 이를 받아들이고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하고자 스위스 다보스(Davos)를 방문 중인 다이먼 CEO는 이날 미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관세’에 대해 “약간의 인플레이션이 있더라도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된다면 받아들여야 한다”며 “내 말은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국가 안보는 약간의 인플레이션에 우선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다이먼 CEO는 “관세는 경제적 정책 도구일 뿐”이라며 “관세는 어떻게, 왜 사용하느냐 등에 따라 경제적 무기가 될 수 있다.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도 있고, 유발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상대를 협상 테이블에 끌어내는 데 관세가 수단이 될 수도 있다고도 인정했다.
이 같은 발언은 과거 오랜 기간 동안 월가가 주장해온 입장과는 사뭇 다르다.
업계에 따르면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교역 상대국은 물론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일관된 견해다. 다이먼 CEO 역시 지난 몇 년간 관세 부과 정책이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없다며 관세에 대해 반대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듯한 다이먼 CEO의 이날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달라진 월가 기류를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우려와 달리 취임 직후 신규 관세 정책을 실행하진 않았지만, 다음달 1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밝힌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