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중앙은행 분데스방크는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정책이 독일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며, 미국 역시 경제 위축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분데스방크 요아힘 나겔 총재는 이날 프랑크푸르트 연설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이 구매력 손실과 비용 증가를 초래해 자국 산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분데스방크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60%, 유럽연합(EU) 포함 다른 국가의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보복 관세가 시행될 경우, 독일 국내총생산(GDP)이 2027년까지 1.5%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독일 경제는 2023∼2024년 2년 연속 역성장했다. 분데스방크는 독일 GDP가 올해 0.2%, 내년 0.8%, 2027년 0.9% 각각 증가해 경제가 서서히 회복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과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논의로 유럽 금융시장은 크게 요동치고 있다. 유럽 주요국의 장기 국채 금리가 급등했으며, 독일 방산업체 라인메탈 주가는 14% 이상 상승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과 종전 협상에 따른 변수를 반영해 올해 12월 기준금리 전망치를 기존 1.95%에서 2.00%로 상향 조정했다. 현재 ECB의 예금금리는 2.75%로 유지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연내 금리가 2% 수준까지 낮아질 것이라는 기존 전망에서 후퇴한 것이다.
다만,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경기 둔화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해 "유로존 경제성장률 전망이 기존 1.0%에서 0.9%로 낮아졌다"고 보도했다.
TD증권 제임스 로시터 거시경제 책임자는 "ECB가 인플레이션 급등 우려 없이 금리를 점진적으로 인하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트럼프발 무역전쟁의 영향은 영국보다 EU에서 더 클 것이며, 이는 금리를 중립 수준 이하로 내릴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